 일찍이 삼한시대에는 마한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물아혜(勿阿兮)군이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무안군으로, 고려시대에는 물량군(勿良郡), 또는 무안군으로 불리웠다.
이러한 이름들은 지금의 목포시만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무안군과 함께 더불어서 불렀으며, 오랜 세월동안 이 고장의 행정구역은 여러번 바뀌었으나 조선조에 이르러 나주목의 속현으로 이어왔다.
「목포」라는 이름은〈고려사〉라는 역사책에서 처음 나오는데, 땅이름의 유래는 정확하지 않다. 나무가 많은 포구라 하여 목포(木浦)라고 불렀다고하고, 목화가 많이 난다하여 그렇게 불렀다는 설도 있으며, 서해로부터 육지로 들어가는 길목이라고하여 목포라고 불렀다고 하는 등의 주장이 있으나 이는 모두 근거가 없는 내용이다. 조선 세종21년 1439년에는 「목포만호」가 설치 되었으며, 임진란 때에는 목포 고하도에 이순신장군이 친히 수군진을 설치하여 108일 동안 머물렀고, 1897년 10월 1일 목포항은 개항 하였다. 그후 1910년 일제가 국권을 빼앗던 해의 10월 1일「목포부」로 고쳐 부르게 되었으며 1932년에는 무안군 일부지역을 더하여 8.6㎢의 도시면적에 인구 6만인 전국 6대 도시의 하나로 성장하여 一黑(김), 三白(면화, 쌀, 누에고치)의 집산지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949년 8월 15일「목포부」를 비로소「목포시」로 고쳐 부르게 된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신외항·무안 망운국제공항 건설 등 SOC 투자촉진과 대불·삼호공단 조성으로 산업기반 시설이 확충되어 서남해안 시대의 중추기능을 담당한 [세계로 웅비하는 미래의 도시]입니다. ▣ 목포시의 연혁 1397(태조 6년) : 목포진 설치
1439년(세종 21년) : 목포에 있는 수군처치영을 해남 문내면으로 옮기고 목포만호진 설치
1502년(연산 8년) : 목포진성 축성
1647년(인조 25년) : 고하진을 땅고지로 옮긴 후에 당관창 됨
1897년 10월 1일(광무1년): 목포항 개항
1910년 10월 1일 : 무안부를 목포부로 개칭하고 19면을 관할
1914년 1월 11일 : 호남선 철도 개통
1914년 4월 1일 : 무안군 부내면만 목포부로 편입
1932년 10월 1일 : 무안군 이로면, 죽교리, 산정리, 용당리 등을 목포로 편입
1948년 4월 1일 : 정을 동으로 개칭
1949년 8월 15일 : 목포부를 목포시로 개칭
1963년 1월1일 : 무안군 상리, 용당리, 달리,율도등을 목포시로 편입
1987년 1일 1일 : 무안군 삼향면 옥암리,대양리 등을 목포시로 편입
1994년 7월 6일 : 이로동을 용해 상동으로 분동
1997년 1월 1일 : 행정동 분합(29개동 => 26개동)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