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전국 새우젓 생산량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젓갈산업 육성을 위해 주산지에 ‘젓갈타운’을 조성하고 젓갈의 숙성·운반·보관에 사용해온 용기도 비위생적 철재드럼에서 플라스틱 위생용기로 교체키로 했다.
전남도는 신안 지도읍에 총 1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올해 완공을 목표로 젓갈로 유명했던 옛 명성을 살리고 생산에서 가공, 유통까지 과정을 한눈에 볼수 있고 체험할수 있는 젓갈타운을 조성하고 있다.
영광 설도에도 젓갈산업현대화 및 관광상품화를 위해 2012년까지 100억원을 지원해 설도 젓갈타운을 조성키로 했다.
특히 오는 2월 생산어업인들이 주주가 돼 생산, 가공, 유통을 전담할 새우젓 주식회사도 설립 예정이어서 앞으로 전국의 젓갈시장을 주도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와함께 소비자로부터 철재드럼을 사용함으로써 식품 안전에 불신을 초래했던 용기 개선을 위해 무안 삼향농공단지에 식품 위생용기 제작회사인 (주)신명(대표 이제연)을 입주시켜 플라스틱 용기를 제작 보급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주)신명은 지난해 젓갈용기 10만개를 생산해 어업인들에게 보급했다.
이인곤 전남도 해양수산환경국장은 “게르마늄이 풍부해 우수한 젓갈원료 생산지로 유명한 전남 해역에서 젓갈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남은 새우젓 생산량의 90%를 영광, 신안 해역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전체 젓갈 생산량도 2만4천674톤으로 전국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