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제 문서
무제 문서
실시간지방뉴스

인기검색어 J프로젝트 압해도 신안군 무안국제도시 무안 새만금 간척지 국제도시 신아군 andks
실시간매물정보

 
무제 문서
 
무제 문서
 
무제 문서
지역별 매물정보
신안군 증도면 우전리 산..
신안군 지도읍 어의리 641
목포시 석현동 1168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 61..
무안군 망운면 송현리109..
신안군 비금면 지당리 산..
 
무제 문서
 
무제 문서
  더보기
 
 

HOME > 각/프로젝트 >
시/군별뉴스검색
목포시 광양시 강진군 곡성군 신안군 무안군
영암군 장흥군 화순군 나주시 여수시 보성군
구례군 담양군 영광군 완도군 함평군 진도군
해남군 순천시 고흥군 장성군 광주시  
 

글 쓴 이

 해남신문

2017-01-25

 삼마도 태양광·풍력 설비 효율적 활용 못해
 [ 42750_17434_453.jpg(282) ]

감사원 추진실태 감사결과 지적
노후 디젤발전기 연동 불과로



화산면 삼마도에 신재생에너지 자립 섬 조성사업이 진행됐지만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및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충전량에 따라 디젤발전기가 제어되지 않는다는 사유로 디젤발전기를 상시 가동하는 등 태양광·풍력발전 설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은 신성장 동력 에너지사업 추진실태에 대한 감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지난 5일 공개했다.
감사 결과 삼마도는 신재생에너지의 손실률이 32.2%에 달해 사업추진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며 한국에너지공단은 에너지 자립섬 조성사업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생산한 전기를 우선적으로 이용하고 그 발전량이 부족한 경우에만 디젤발전기를 가동하도록 에너지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했다.
삼마도 에너지 자립 섬 조성사업은 총사업비 53억원(국비 30, 도비 5, 군비 5, 기업 13)을 들여 태양광 140㎾, 풍력 60㎾, 에너지 저장장치 1280㎾ 등 신재생에너지 인프라를 구축, 연간 28만3970kW/h의 전기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도서지역의 디젤발전을 태양광·풍력 등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와 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결합한 친환경 에너지발전으로 대처하고 기존의 디젤발전기는 예비용으로 활용, 태양광·풍력 등을 이용해 생산한 전기를 ESS에 저장해 우선 사용하고 기상여건 등으로 발전 및 저장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기존 디젤발전기를 가동해 부족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발전시스템이 구축됐다.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발전 및 저장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이와 연동해 디젤발전기가 보완 가동될 수 있도록 에너지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하고 시스템 연동이 되지 않는 디젤발전기의 경우 발전기 패널을 교체하는 등 설비를 보완해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사업이 추진됐어야 했다.
하지만 감사원 감사결과 에너지공단은 사업추진의 전제조건인 디젤발전기의 자동제어 가능여부를 검토하지 않은 채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만을 지원대상으로 해 지자체로 하여금 사업을 추진하도록 한 점이 드러났다.
감사원은 감사기간 중 에너지 자립 섬 조성사업 중 디젤발전기를 예비용으로 활용하는 사업의 발전시스템을 확인한 결과 삼마도 등 3개 도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및 ESS 충전량에 따라 디젤발전기가 제어되지 않는다는 사유로 디젤발전기를 상시 가동하는 등 태양광·풍력발전 설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삼마도에 있는 디젤발전기는 지난 1996년 설치된 아날로그 발전기로 연동이 불가한 것.
감사원이 지난 2015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분석한 결과 삼마도의 예상 발전량은 29만3762㎾h(태양광 20만426㎾h, 풍력 9만3366㎾h)은데 반해 실제 발전량은 22만 5080㎾h(태양광 20만9366㎾h, 풍력 1만5714㎾h)였다. 하지만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수용가로 사용된 양인 사용량은 19만8962㎾h로 손실량(예상발전량-사용량)은 9만4800㎾h로 손실률이 32.2%에 달했다. 삼마도에는 4억5800만원의 예산을 들여 3㎾ 소형 풍력발전기 10개가 건립됐지만 풍속 미달로 발전효율은 4.02%에 그치는 실정이다.
또한 감사원은 이번 감사에서 각 지자체에서 태양광 등 신재생 발전시설의 인허가 시 주변 여건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도로 등과의 이격거리만으로 발전소 입지를 원천적으로 제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오늘 0 / 전체 688]

328

[영암군] 항공레저단지 조성 절차 간소화 방안 없나요

광주일보
2017-09-12
1502

327

[구례군] 대한민국 1호 국립공원 지리산에 정원 개장

전남도청
2017-09-07
1563

326

[목포시] 목포서 국내 첫 국제 규모 아태 분재산업박람회

전남도청
2017-09-07
1473

325

[목포시] 오룡지구 아파트, 연말 공사 시작

문화방송
2017-08-11
1616

324

[진도군] 거북선남도소리 테마 국립진도자연휴양림 개장

전남도청
2017-07-13
1654

323

[신안군] 국립공원 심의 지연..흑산공항 차질 우려

문화방송
2017-07-08
1874

322

[목포시] 유달경기장 이전,신축 비용은 500억원

문화방송
2017-06-14
1710

321

[장성군] 전통주 생산업체 체험관광 복합공간으로 육성

전남도청
2017-06-08
1527

320

[목포시] 목포 대양산단에 스마트 전력량계 제조공장 준공

전남도청
2017-06-08
1594

319

[신안군] 신안 반월 당숲, 국가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

전남도청
2017-05-31
1882

318

[해남군] 전남장애인체육대회, 10일 해남서 개막

전남도청
2017-05-11
1537

317

[진도군] 진도 대명해양리조트 27일 첫삽

호남매일
2017-04-26
1664

316

[보성군] 보성에 전국 첫 천연 옻칠도료 생산공장

전남도청
2017-04-13
1641

315

[목포시] 목포 대양산단에 7개 기업 유치

전남도청
2017-04-13
1677

314

[완도군] 전남도, 완도국제해조류박람회장서 현장 토론회

전남도청
2017-03-20
1577

313

[장흥군] 21일 장흥서 전남형 강소기업 육성 설명회

전남도청
2017-03-20
1966

312

[영광군] 영광에 초당대 항공대학 캠퍼스 새 둥지

전남도청
2017-02-21
1698

311

[목포시] 임성지구 도시개발 9년 만에 본격화 [1]

문화방송
2017-02-15
2032

310

[장흥군] 올해 전남 참홍어 허용어획량 180t

전남도청
2017-02-14
1561

[해남군] 삼마도 태양광·풍력 설비 효율적 활용 못해

해남신문
2017-01-25
1624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9 ]  20

 

 

 
 
무제 문서
[알림]저작권에 문제있는 글,사진은 전화주시면 삭제처리하여 드립니다. LG공인중개사